-
DI와 IOC컨테이너(2) XML을 이용한DIWEB/Spring 2022. 11. 25. 18:48
우리가 어플리케이션을 만들다 보면 객체 하나 갖고 만들어 지는 경우는 없다.
A 라는 객체는 B와 C의 객체를 이용
A객체는 B,C객체에 의존을 한다고 표현한다.
다른 객체를 이용 하는 방법에는 두가지가 있다.
- 내부적으로 New연산자를 이용해서 B,C를 생성 (직접 생성)
- 외부에서 B와 C를 만들어서 Setter 와 생성자를 통해 넣어줌 (외부에서 생성하여 넣어줌)
스프링은 2번 째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A객체 에서B C가 필요하다.
여기서 B와 C등 여러가지 A에 필요한 객체들을 부품화 시켰다고 할수 있고,
이러한 부품들을 모아 놓은 것을 IOC 컨테이너 라고 할 수 있다.
스프링이란 결국 부품을 생성하고 조합하는 라이브러리의 집합체라고 할수 있다.
스프링에서 주입 하는 방법 DI(외부에서 주입 하는 방법)
클래스 파일이 아닌 XML 파일을 이용해 객체를 생성
<property name="firstNum" value="10"></property>
firstNum=setFirstNum()
Java 클래스에서 setter 함수를 이용하는 것 과 동일
New를 통해 직접 생성하는 것이 아닌 외부 주입 방식의 객체 사용
String configLoc ="XML파일의 경로"
AbstractApplicationContxet = Generic을 이용해 xml을 넣어줌 ( IOC컨테이너를 생성 한다고 보면 됨 (공장))
MyCaluator = xml에 의해 생성된 외부 객체를 getBean() 통해 생성 (컨테이너 안에 부품을 가져옴)
스프링 프로퍼티 설정 기본
'WEB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XML을 이용한 쿼리 실행 (0) 2023.01.06 어노테이션을 이용한 객체 생성 (0) 2022.11.25 DI와 IOC컨테이너(3) (0) 2022.11.25 DI와 IOC컨테이너(1) (0) 2022.11.25 스프링 생명 주기 (0) 2022.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