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
jsp의 scope 정리WEB/JSP 2023. 11. 27. 09:37
[SCOPE의 정의] - 웹 서버에서 객체 또는 변수가 생성된후 유효 할 수 있는 범위를 말한다. - 총 4가지 종류의 scope가 존재 한다. Page : 페이지 내에서 지역변수처럼 사용 Request : http요청을 WAS가 받아서 웹 브라우저에게 응답할 때까지 변수가 유지되는 경우 사용 Session : 웹 브라우저 별로 변수가 관리되는 경우 사용 Application : 웹 어플리케이션이 시작되고 종료될 때까지 변수가 유지되는 경우 사용 (모든 클라이언트에게공통적으로 무언가를 보여 줄때 사용) Scope 종류 유지 범위 활용 방법 JSP 내장 객체 servlet 객체 Page Scope 요청된 page 내부에서사용 지역 변수 처럼 활용 JSP에서 사용 pageContext Request Scop..
-
jsp와 servlet의 차이점은?WEB/JSP 2023. 11. 27. 09:32
Servlet이란 웹 기반의 요청에 대한 동적인 처리가 가능한 Server Side에서 돌아가는 Java Program Java 코드 안에 HTML 코드 (하나의 클래스) 웹 개발을 위해 만든 표준 JSP란 Java 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Server Side 스크립트 언어 HTML 코드 안에 Java 코드 Servlet를 보완하고 기술을 확장한 스크립트 방식 표준 Servlet의 모든 기능 + 추가적인 기능 Servlet과 JSP의 차이 Servlet Java 코드 안에 HTML 코드 (하나의 클래스) data processing(Controller)에 좋다. 즉 DB와의 통신, Business Logic 호출, 데이터를 읽고 확인하는 작업 등에 유용하다. Servlet이 수정된 경우 Java 코드를 컴..
-
@Controller와 @RestController 차이WEB/Spring 2023. 7. 17. 08:10
Spring에서 컨트롤러를 지정해주기 위한 어노테이션은 @Controller와 @RestController가 있습니다. 전통적인 Spring MVC의 컨트롤러인 @Controller와 Restuful 웹서비스의 컨트롤러인 @RestController의 주요한 차이점은 HTTP Response Body가 생성되는 방식입니다. 이번에는 2가지 어노테이션의 차이와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Controller 이해하기 [ Controller로 View 반환하기 ] 전통적인 Spring MVC의 컨트롤러인 @Controller는 주로 View를 반환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아래와 같은 과정을 통해 Spring MVC Container는 Client의 요청으로부터 View를 반환합니다. Clien..
-
Scheduler 란?WEB/Spring 2023. 3. 11. 19:01
Scheduler 스프링 스케쥴러는 일정 주기마다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개발자가 하나하나 신경쓰지 않더라도 Scheduler의 기능을 이용하면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된다. 실행주기를 설정하는 방법 fixedDelay : 이전 수행이 종료된 지점을 기준으로 일정시간이 경과했을 때 다음을 수행 fixedRate : 이전 수행이 시작된 지점을 기준으로 일정시간이 경과했을 때 다음을 수행 위의 두 가지 방법은 이전에 수행했던 수행시점을 기준으로 일정시간 후에 다음 수행을 시작한다. fixedRate의 경우 작업에 소요되는 수행 시간이 fixedRate에서 지정된 시간보다 길어지면 두 수행이 겹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fixedRate을 사용하여 스케쥴링을 할 때에는 주의가 필요..
-
XML을 이용한 쿼리 실행WEB/Spring 2023. 1. 6. 17:07
1. MyBatis + XML 연동 1. 테이블 생성 2. MemberVO 클래스 생성 (패키지 : my.spring.domain) 3. MemberDAO 인터페이스 생성 (패키지 : my.spring.dao) 4. MemberDAO.java 파일에 아래 코드 입력 1-1. XML Mapper 생성 (Mapper 폴더 경로 : /src/main/resources) 1. Mappers 폴더를 생성한다. 2. XML 파일 생성 (파일 경로 : /src/main/resources/mappers) 3. MemberMapper.xml 에 아래 쿼리 추가 4. root-context.xml 파일에 mapperLocations 추가 (mybatis-Spring에서 XML Mapper 인식) 1-2. DAO 인터페이스..
-
어노테이션을 이용한 객체 생성WEB/Spring 2022. 11. 25. 19:24
위 그림 처럼 B라는 객체가 B2라는 객체를 의존 하고 있을때를 가정 해보자. B2를 B3라는 객체로 결합 상태를 바꾸고 싶을때, 결합 상태를 바꾸기 위한 코드가 수정이 되어야 하는데 코드를 수정 하지 않고 변경 하기 위해 우리는 XML을 이용하였다. 하지만 XML을 이용 하여도 설정 파일에서 또 한번 동그라미 부분의 수정이 B2=>B3로 바꿔줘야하는 번거로움이 생긴다. 어노테이션을 이용하면 설정파일을 따로 둘 필요없이 객체를 바꿔버리면 설정도 자동으로 바뀌게 되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지시서 작성 방식의 변경 XML파일 형식의 지시서 작성 방식 어노테이션을 이용한 방식 자료 출처 : https://www.youtube.com/@newlec1/featured 뉴렉처 "유료" 온라인 강의 사이트 뉴렉처에서..
-
DI와 IOC컨테이너(3)WEB/Spring 2022. 11. 25. 19:07
스프링에 가장 코어 해당되는 능력은 바로 부품을 조립해 주는 것(DI)인데 그러기 위해선 여러가지 부품들을 우리가 주문서에다 입력을 해서 스프링에게 제공을 해주어야함 스프링은 제공해주는 주문서를 토대로 부품을 생성하고 조립 해줌 xml 또는 어노테이션을 이용하여 주문서를 작성 할수 있다. 스프링은 주문서의 입력 되어 있는 내용대로 객체를 생성해서 담을 수 있는 그릇이 필요하다. 소프트웨어서 그런 그릇들을 컨테이너라고 하고 그 컨테이너에 담겨져 있는 것이 무엇이냐에 따라서 무슨 컨테이너라고 한다. 일단 우리가 주문서에다 어떤 부품을 생성 해주세요 라고 하면은 생성 해준다 그리고 컨테이너에 담게 된다. 이걸 우리가 ioc 컨테이너 라고 한다. 자료출처 : https://www.youtube.com/@newl..
-
DI와 IOC컨테이너(2) XML을 이용한DIWEB/Spring 2022. 11. 25. 18:48
우리가 어플리케이션을 만들다 보면 객체 하나 갖고 만들어 지는 경우는 없다. A 라는 객체는 B와 C의 객체를 이용 A객체는 B,C객체에 의존을 한다고 표현한다. 다른 객체를 이용 하는 방법에는 두가지가 있다. 내부적으로 New연산자를 이용해서 B,C를 생성 (직접 생성) 외부에서 B와 C를 만들어서 Setter 와 생성자를 통해 넣어줌 (외부에서 생성하여 넣어줌) 스프링은 2번 째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A객체 에서B C가 필요하다. 여기서 B와 C등 여러가지 A에 필요한 객체들을 부품화 시켰다고 할수 있고, 이러한 부품들을 모아 놓은 것을 IOC 컨테이너 라고 할 수 있다. 스프링이란 결국 부품을 생성하고 조합하는 라이브러리의 집합체라고 할수 있다. 스프링에서 주입 하는 방법 DI(외부에서 주입 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