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JSP
-
jsp의 scope 정리WEB/JSP 2023. 11. 27. 09:37
[SCOPE의 정의] - 웹 서버에서 객체 또는 변수가 생성된후 유효 할 수 있는 범위를 말한다. - 총 4가지 종류의 scope가 존재 한다. Page : 페이지 내에서 지역변수처럼 사용 Request : http요청을 WAS가 받아서 웹 브라우저에게 응답할 때까지 변수가 유지되는 경우 사용 Session : 웹 브라우저 별로 변수가 관리되는 경우 사용 Application : 웹 어플리케이션이 시작되고 종료될 때까지 변수가 유지되는 경우 사용 (모든 클라이언트에게공통적으로 무언가를 보여 줄때 사용) Scope 종류 유지 범위 활용 방법 JSP 내장 객체 servlet 객체 Page Scope 요청된 page 내부에서사용 지역 변수 처럼 활용 JSP에서 사용 pageContext Request Scop..
-
jsp와 servlet의 차이점은?WEB/JSP 2023. 11. 27. 09:32
Servlet이란 웹 기반의 요청에 대한 동적인 처리가 가능한 Server Side에서 돌아가는 Java Program Java 코드 안에 HTML 코드 (하나의 클래스) 웹 개발을 위해 만든 표준 JSP란 Java 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Server Side 스크립트 언어 HTML 코드 안에 Java 코드 Servlet를 보완하고 기술을 확장한 스크립트 방식 표준 Servlet의 모든 기능 + 추가적인 기능 Servlet과 JSP의 차이 Servlet Java 코드 안에 HTML 코드 (하나의 클래스) data processing(Controller)에 좋다. 즉 DB와의 통신, Business Logic 호출, 데이터를 읽고 확인하는 작업 등에 유용하다. Servlet이 수정된 경우 Java 코드를 컴..
-
JSP MVC ModelWEB/JSP 2022. 10. 6. 16:35
[ MVC 패턴 ] M (Model, 모델) : 로직(연산) 수행(데이터 작업 포함) V (View, 뷰) : 사용자 화면 출력 C (Controller, 컨트롤러) : 중앙에서 Model과 View의 제어 [ Controller (컨트롤러) ] 모든 요청은 컨트롤러로 모임 사용자가 직접 URL을 입력해서 접근하건 뷰(View)에서 다른 뷰(View)를 호출하건 모두 컨트롤러를 거침 일종의 작업 분배기 톰캣 서버에서 구동되는 가장 핵심적인 역할이기 때문에 서블릿(HttpServlet) 클래스를 상속받아 서블릿이 됩니다. 사용자의 요청 내용과 커넥션 정보 등을 내장 객체 형태로 가지고 있어 이를 적절히 처리 이 정보를 모델에게 넘겨서 로직을 수행한 후 결과를 받아 뷰에게 전달해 최종 화면을 사용자에게 넘김..
-
JSP 라이프 사이클(파일이 처리되는 과정)WEB/JSP 2022. 9. 23. 16:08
JSP파일이 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을 받아 처리해서 응답을 주는 과정을 그림으로 보자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 jsp파일을 요청 하게 되면 톰캣에서 요청된 jsp파일을 java코드로 바꾼후 클래스 파일로 컴파일을 하게 된다. 컴파일 후엔 메모리에 Load 하게된다. 즉 new Ex03_jsp()했다고 생각 하면 된다. 객체 생성 후 jspInit()함수를 호출 (톰캣이) 후 jspService() 함수를 호출후 로직을 처리 후 Reponse된 HTML코드가 브라우저를 통해 해석 된다. 서버가 종료되면 jspDestroy()함수 호출 후 메모리에 올라가 있는 서블릿 객체들을 호출 객체들을 메모리에서 제거 ( Destroy()가 객체 제거를 해주는 것이아니라 제거하기 전에 정리해야될 기능들을 갖게끔 오버라이딩 해서..
-
CookieWEB/JSP 2022. 7. 13. 15:49
쿠키란 하이퍼 텍스트의 기록서의 일종으로서 인터넷 사용자가 어떠한 웹사이트를 방문할 경우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인터넷 사용자의 컴퓨터나 다른 기기에 설치되는 작은 기록 정보 파일을 일컫는다. 쿠키 동작 순서 클라이언트가 페이지를 요청 웹 서버에서 쿠키 생성 생성한 쿠키에 필요 정보를 담아 클라이언트에게 전달 해당 쿠키는 클라이언트가 갖고있다가 다시 서버 요청할 때 쿠키를 전송 동일 사이트 재 방문시 클라이언트 브라우저에 쿠키가 만약 남아있는 경우 요청 페이지와 함께 쿠키를 전송 쿠키 종류 - Session Cookie : 보통 만료시간(Expire date) 설정하고 메모리에만 저장되며 브라우저 종료 시 쿠키를 삭제한다. - Persistent Cookie : 장기간 유지되는 쿠키파일로 저장되어 ..
-
Session 객체WEB/JSP 2022. 7. 13. 15:20
세션(Session)이란 일정 시간동안 같은 사용자(정확하게 브라우저를 말한다)로 부터 들어오는 일련의 요구를 하나의 상태로 보고 그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술이다. 방문자의 요청에 따른 정보를 방문자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이 아닌 웹 서버가 세션 아이디 파일을 만들어 서비스가 돌아가고 있는 서버에 저장하는 것이다. 서버에 저장되기 때문에 사용자 정보가 노출되지 않는다. 1. 세션의 원리 - 세션 ID를 서버에서 클라이언트가 자시 웹사이트에 접속시 발급해준다. -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발급해준 세션 ID를 쿠키를 사용해서 저장합니다. - 클라이언트는 다시 접속시, 이 쿠키를 이용해서 세션 ID값을 전달합니다. HTTP 세션 동작 순서 -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접속을 시도한다. - 서버는 접근한 클라이언..
-
Application 객체WEB/JSP 2022. 7. 12. 17:13
웹어플리케이션 특성 사용자의 요청이 일어나면 => 웹서버에서는 응답을 하고 끝나고 나면 메모리에서 사라짐 ( 요청에 일만 하고 일이 끝나면 바로 사라진다) 첫번째 요청에서 할당한 자원을 두번째 요청에서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면 사용을 할 수 가 없다 =>서블릿 끼리 서로 자원을 공유하기 위해 저장소가 필요한데그 저장소가 서블릿 콘텍스트 Application 객체 활용 계산기 request.getServletContext(); 메서드를 이용하면 저장소를 이용 할수 있다. setAttribute("키", 값) 데이터를 저장 하고 getAttribute("키") 저장한 데이터를 얻음 10을 입력하고 => 빼기 클릭 => 데이터가 저장소에 저장됨 5를 입력 한후 => "=" 클릭 =>저장된 결과를 이용하여 결..
-
서블릿 필터WEB/JSP 2022. 7. 12. 15:57
요청 응답의 흐름과 서블릿 필터 구조 WAS(톰캣)이 사용자로 부터 요청이 들어오면 Servlet소프트웨어를 실행해서 결과를 돌려주게 되있다. 서블릿을 실행하면 메모리상에 존재하게 될텐데 그당시에 존재하는 공간을 서블릿 컨테이너 라고한다. WAS는 서블릿을 실행시켜서 컨테이너에 담아두고 결과를 돌려주게 된다. (더이상 사용 되지 않으면 삭제) 중간에 서블릿 필터를 끼워넣고 요청이 서블릿 으로 전송 되기 전에 중간에 필터 역할을 할수 있다. 서블릿 필터 예제 문자열 인코딩 방식이 맞지 않으면 글자가 깨져서 나오지만 간단히 서블릿 필터를 이용하여 중간에 Encoding 방식을 바꿔주어 정상적으로 보내 줄수 있다. Filter 인터페이스를 받고, FilterChain에 doFilter 메서드를 이용하면 요청 ..